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신경초종이란?

by 페르마타153 2025. 4. 18.
반응형

 

청신경초종

청신경초종이란 무엇일까요?

청신경초종(聽神經鞘腫, acoustic neuroma)은 뇌종양의 일종으로, 주로 8번 뇌신경이라고 불리는 전정와우신경의 슈반 세포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이 신경은 귀에서 뇌로 소리와 균형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종양은 대개 매우 느리게 자라며, 처음에는 증상이 미미하여 알아채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 주변 뇌 구조를 압박하여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과 주요증상

대부분의 청신경초종은 특별한 원인 없이 산발적으로 발생합니다. 하지만 드물게 신경섬유종증 2형(Neurofibromatosis type 2, NF2)이라는 유전 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신경섬유종증 2형 환자의 경우, 양쪽 귀에 청신경초종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뇌종양이나 신경계 종양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청신경초종의 정확한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청신경초종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 성장 속도, 그리고 주변 뇌 구조에 대한 압박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하거나 비특이적일 수 있지만, 종양이 커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청력 저하 (Hearing Loss): 가장 흔한 초기 증상 중 하나로, 서서히 진행되는 한쪽 귀의 청력 저하가 특징적입니다. 처음에는 고음 영역의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전화 통화 시 한쪽 귀로만 듣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이명 (Tinnitus): 귀에서 윙윙거리는 소리, 매미 소리, 또는 다른 잡음이 들리는 증상입니다. 청력 저하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어지럼증 및 균형 장애 (Dizziness and Balance Problems): 전정와우신경은 균형 감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종양이 이 신경을 압박하면 어지럼증, 불안정한 느낌, 또는 걸을 때 비틀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얼굴 감각 이상 또는 마비 (Facial Numbness or Weakness): 종양이 더 커져 5번 뇌신경(삼차신경)을 압박하면 얼굴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드물게 7번 뇌신경(안면신경)을 압박하여 얼굴 근육의 마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 두통 (Headache): 종양이 커지면서 뇌압이 상승하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간헐적인 두통으로 나타나지만, 진행될수록 강도와 빈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심한 경우에는 구토, 삼킴 곤란, 복시, 보행 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과정

청신경초종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일 수 있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청력 검사 (Audiometry): 순음 청력 검사, 어음 청력 검사 등을 통해 청력 수준과 유형을 평가합니다. 청신경초종의 경우 특징적인 청력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 뇌간 유발 전위 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소리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을 측정하여 청신경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종양이 있는 경우 파형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가장 정확하고 중요한 진단 방법입니다. 조영제를 사용하여 촬영하면 작은 크기의 종양까지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종양의 크기, 위치, 주변 뇌 구조와의 관계 등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MRI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나 뼈의 침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RI에 비해 작은 종양을 발견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치료 방법

청신경초종의 치료 목표는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하며, 신경학적 기능을 보존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은 종양의 크기, 환자의 나이와 건강 상태, 증상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과 관찰 (Observation): 작은 크기의 종양으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고, 종양의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 없이 주기적인 MRI 검사를 통해 종양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제거 (Surgical Removal):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또는 종양이 빠르게 성장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최대한 제거하여 주변 뇌 구조에 대한 압박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수술 방법은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숙련된 신경외과 전문의의 경험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안면 신경 마비, 청력 손실, 뇌척수액 유출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 후 잔존 종양이 있는 경우, 또는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지 않아 수술을 견디기 어려운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는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방사선 치료의 종류에는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사이버나이프 방사선 수술, 정위적 방사선 치료 등이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 후에는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뇌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관리 및 예후

청신경초종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해 종양의 재발 여부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관리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안면 신경 마비가 발생한 경우에는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청력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청기 착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청신경초종은 양성 종양으로,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 및 종양 조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경학적 합병증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신중하게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현재 의학 기술은 매우 발전하여 청신경초종에 대한 다양한 치료 옵션이 존재합니다. 중요한 것은 전문의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치료에 임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