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구분하는 방법

by 페르마타153 2025. 4. 28.
반응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모두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그 정도와 증상에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구분하는 주요 방법입니다.

 

1. 통증의 강도와 지속 시간:

  • 협심증: 흉통은 주로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느낌, 뻐근함 등으로 묘사됩니다. 통증의 강도는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대개 5~10분 이내로 짧게 지속됩니다. 안정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복용하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 심근경색: 흉통은 협심증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강도가 훨씬 심하고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슴을 짓누르는 듯하다", "숨이 차다", "가슴이 타는 듯한 느낌"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을 사용해도 잘 완화되지 않습니다.

2. 통증의 유발 요인:

  • 협심증: 주로 운동, 스트레스, 과식, 추운 날씨 등 심장에 부담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유발됩니다. 이러한 유발 요인이 사라지면 통증도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근경색: 안정 시에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협심증 증상이 없던 사람에게도 급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으며, 수면 중이나 새벽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동반 증상:

  • 협심증: 흉통 외에 어깨, 팔, 목, 턱 등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소화불량, 가슴 쓰림, 호흡곤란, 식은땀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심근경색에 비해 덜 심각합니다.
  • 심근경색: 흉통과 함께 호흡곤란, 식은땀, 창백한 안색, 어지러움, 구역질, 구토 등이 흔하게 동반됩니다. 심한 경우 실신이나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통증 완화 방법:

  • 협심증: 휴식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투여하면 대부분 수 분 내에 통증이 완화됩니다.
  • 심근경색: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으로 통증이 잘 완화되지 않습니다.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5. 질환의 상태:

  • 협심증: 관상동맥이 좁아져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닙니다. 심근경색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 심근경색: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괴사)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결론

가슴 통증은 협심증과 심근경색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된 심근경색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심근경색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므로,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요약:

특징 협심증 심근경색
통증 강도 비교적 약함 심함
통증 지속 시간 5~10분 이내 30분 이상 지속
유발 요인 운동, 스트레스 등 심장 부담 시 안정 시에도 발생 가능
동반 증상 방사통, 경미한 호흡곤란 등 심한 호흡곤란, 식은땀, 창백, 구역질, 실신 가능성
통증 완화 휴식,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완화 잘 됨 잘 완화되지 않음
혈관 상태 좁아짐 (부분 폐쇄) 완전히 막힘 (완전 폐쇄)
위험도 심근경색의 전 단계 생명 위협 가능성이 높은 응급 질환

가슴 통증이 있을 때는 자가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